본문 바로가기

정보

장례식장 예절(손 위치,장례문화,문상하는 방법), 장례식장 복장

728x90
반응형

장례식장 복장

남성: 검은 정장, 흰 셔츠, 검은 넥타이, 검은 양말, 검은 구두
여성: 검은색 또는 어두운 색상의 단정한 옷 (너무 화려한 액세서리는 피하기)
학생: 교복 착용 가능
신발: 단정한 검은색 또는 어두운 색상의 신발 착용

문상하는 방법

입장

장례식장에 도착하면 조문록에 이름과 연락처를 남긴다.
가족이나 지인과 함께 갔다면 조문 순서를 기다린다.

분향 또는 헌화

불교식: 향을 집어 불을 붙인 후 손으로 흔들어 끄고 향로에 꽂는다.
기독교식: 향을 피우지 않고 조용히 묵념하거나 기도를 한다.
일반적인 경우: 헌화를 할 때는 꽃을 받침대에 올리고 잠시 묵념한다.

절하기

일반적인 경우: 두 번 절하고, 상주(유족)가 답례 절을 하면 다시 한 번 절한다.

재배 시에는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,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공수하고 절합니다.

 

기독교식: 절 대신 손을 모아 기도하는 방식으로 조문할 수 있다.

 위로의 말

"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."
"많이 힘드시겠습니다."
"깊은 애도를 표합니다."
너무 길게 말하지 않고 간단한 위로의 말을 건넨다.

 

조의금 전달

조의금을 흰 봉투(부의봉투)에 넣어 이름을 적고 전달한다.
금액은 보통 3만 원 ~ 10만 원 (관계에 따라 다름).
조의금을 전달할 때는 상주에게 두 손으로 건넨다.

식사와 행동 외 절차

조문 시간은 일반적으로 24시간 운영되지만, 가능하면 늦은 밤이나 이른 아침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
부의금을 준비하여 조의를 표합니다. 

봉투 앞면에는 '부의(賻儀)' 또는 '근조(謹弔)'라고 쓰고, 뒷면에는 이름을 적습니다.

조문 후 식사 자리가 있으면 조용히 참여하며, 음주도 과하지 않게 한다.
고인과 관련된 불필요한 농담이나 시끄러운 대화는 피한다.
너무 오래 머물지 않고, 적절한 시간에 자리를 떠난다.

반응형